- 시바 AI 뉴스레터
- Posts
- 2025년형 챗GPT & Grok3 프롬프트 총정리 - AI로 야근 없애는 시바 부장의 특급 가이드
2025년형 챗GPT & Grok3 프롬프트 총정리 - AI로 야근 없애는 시바 부장의 특급 가이드


안녕? 오늘도 야근 안 하려고 AI 공부에 열 올리는 시바 부장이야. 챗GPT, 그록3, 클로드 같은 거 안 쓰면 우리만 손해라는 거, 이제 다들 알겠지?
지난주 시바 AI 스레드에 유용한 프롬프트랑 AI 추천 유튜브 채널 등 유익한 글 잔뜩 올라왔는데, 바쁜 너희를 위해 내가 싹 정리했다. 그록3 프롬프트 10가지부터 AI 에이전트 생태계 핵심 정리, 2025년 버전 챗GPT 프롬프트등 오늘 몽땅 정리해줄게!
뭐? 아직도 “챗GPT 뭔지 잘 모르겠어서 못 쓰겠다?”면서 안쓰는 애들 있다고? 걱정 놉! 내가 따라만 해도 전문가 스멜 나는 핵심 프롬프트들 딱 던져줄게. 이거 모르면 뒤처진다. 그럼 시작할게.

1. Grok3 전문가처럼 활용하는 프롬프트 10가지!

그록3가 현재는 무료료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물론 제한은 있지만. 언제 유료로 바뀔지 모르니까 우리는 그때까지 열심히 써주면 되는거야.
Grok3 전문가처럼 활용하는 프롬프트 10가지만 알고있어도 어디가서 그록3 좀 쓴다고 이야기 할수있지. 아래 내용은 복사해서 두고두고 써먹으라고.
📌 Grok3 전문가처럼 활용하는 프롬프트 10가지!
1. 연구 종합(Research Synthesis)
"최근 X에 게시된 글 20개와 링크된 기사들을 분석해주세요. [예: 양자 컴퓨팅 발전]에 대한 핵심 트렌드, 논쟁, 해결되지 않은 질문을 요약하고, 인용문이 포함된 500단어 개요를 작성해 논문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해주세요."
2. 프로필 심층 분석(Profile Deep Dive)
“[사용자명]의 X 프로필을 분석해 최근 6개월 동안의 게시물, 링크된 콘텐츠, 업로드한 파일을 바탕으로 그들의 주요 전문 분야, 편향성, 반복되는 주제를 파악하고, 글쓰기 프로젝트에 활용할 수 있는 300단어 프로필 요약을 작성해주세요."
3. 콘텐츠 확장(Content Expansion)
“다음 아이디어—[예: AI가 도시 계획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를 기반으로 1000단어짜리 글의 개요를 작성해주세요. 잠재적인 주장, 반론, 추가 조사해야 할 데이터 포인트를 포함하고, 웹과 X에서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제안해주세요."
4. 비교 분석(Comparative Analysis)
"최근 3개월 동안 [주제 예: 재생 가능 에너지 정책]과 관련된 토론을 X와 웹에서 검색해주세요. 과학자, 정책입안자, 활동가 등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그룹의 관점을 비교하고, 합의점과 갈등을 강조한 600단어 분량의 분석 글을 작성해주세요."
5. 창의적 브레인스토밍(Creative Brainstorming)
“[예: 생명공학] 분야의 새로운 트렌드를 기반으로 독특한 이야기 아이디어 15가지를 생성해주세요. 각각의 이야기에 한 문장으로 프레미스(premise)를 제시하고, 잠재적 주인공과 주요 갈등을 최근 웹 및 X에서 논의되는 내용을 반영해 만들어주세요."
6. 문서 분석(Document Breakdown)
"업로드한 PDF 파일[예: 연구 논문으로 가정]의 주요 주장, 연구 방법론 및 결론을 추출한 다음, 장점과 보완할 부분을 평가하는 400단어의 비평을 작성하고 추가 연구로 이어질 수 있는 질문 3가지를 제안해주세요."
7. 역사적 맥락(Historical Context)
"최근 5년간 X의 게시물과 웹 자료를 사용해 [예: 암호화폐 규제] 개념의 발전을 조사해줘. 주요 사건 10개를 포함한 타임라인을 만들고, 각 사건이 가진 중요성을 블로그 글로 쓸 수 있도록 700단어 내러티브로 작성해주세요."
8. 토론 준비(Debate Prep)
"지난 한 달 동안 X에서 [예: 기본 소득 같은 논쟁적 이슈]에 대해 가장 영향력 있는 게시물 10개를 찾아주세요. 그리고 각 입장을 요약한 다음, 토론 원고를 준비할 수 있도록 반론을 강화하는 300단어의 주장을 두 가지로 작성해주세요."
9. 이미지 기반 글쓰기(Image-Inspired Writing)
"지난주 X에서 가장 많이 공유된 이미지 5장을 [예: 기후 변화의 영향]이라는 테마로 찾아주세요. 각 이미지에서 영감을 얻은 200단어의 픽션을 작성하고, 이미지를 보완할 추가 이미지를 생성할 것인지 나에게 물어봐 주세요."
10. 아이디어 발전(Idea Refinement)
"내가 제시한 간략한 아이디어—[예: 탈중앙화 교육 플랫폼]를 가지고, X와 웹에서 유사한 아이디어를 조사해주세요. 이를 바탕으로 실행 방법, 잠재적 도전 과제, 다음 개발 단계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 가능한 단계 5가지를 포함한 500단어 보고서를 작성해주세요."
복사만 해두지말고 내용 바꿔가면서 써보고 자기걸로 만들어야하는거 다들 알고 있지?

2. AI 에이전트 생태계 한눈에 파악!

출처: @rakeshgohel01
요즘 AI 에이전트에 대해서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 혹시 AI 에이전트가 뭔지 알고있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AI 에이전트란?
AI 에이전트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지능형 시스템입니다. 이 에이전트는 사용자나 시스템을 대신해 다양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계되며, 주로 자율성, 환경 인식, 목표 지향성, 학습 능력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AI 에이전트의 주요 특징
자율성: 인간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독립적으로 의사결정하고 행동할 수 있습니다.
환경 인식: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목표 지향성: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합니다
학습 능력: 경험을 통해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성능을 개선합니다
대략 이런 내용인데 AI 에이전트 구조로 들어가면 온갖 전문 용어가 우르르 나오잖아. 그래서 준비했지. 빙산 그림 하나로 딱 정리한 AI 에이전트 구조. 이미지 내용을 텍스트로 정리해줄테니까 당장 저장해라.
📌 AI 에이전트를 이루는 중요한 기술 요소들
1. CPU/GPU 공급자 | Azure |
2. 인프라(Infra/Base) | Docker |
3. 데이터베이스 (AI의 '기억 창고') | Chroma |
4. ETL(Extract, Transform, Load) | DATAVOLO |
5. 기반 모델 Foundational Models | OpenAI |
6. 모델 라우팅 Model Routing | martian |
7.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Agent Orchestration | LangGraph |
8. 에이전트 관측성 Agentic Observability | Arize |
9. 도구 Tools | Google |
10. 인증 Authentication | Auth0 |
11. 메모리 Memory | zep |
12. 프론트엔드 Front-end | Streamlit |
13. AI Agents | bolt |
이런 식으로 깔끔하게 카테고리별로 정리되어있어서, “AI 에이전트가 대체 뭔지 모르겠어” 하던 사람도 한눈에 쏙 들어온다. 무조건 저장하고 두고두고 꺼내보자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