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라2 프롬프트 가이드 한글 번역본(Sora 2 Prompting Guide)

OpenAI에서 공개한 소라2 프롬프트 가이드를 이해하기 쉽게 한글 번역한 내용입니다. 원본 링크는 여기에서 확인해주세요.

효과적인 프롬프트 구조

명확한 프롬프트는 마치 스토리보드에 스케치하듯 샷을 묘사하는 것과 같습니다. 카메라 프레이밍, 피사계 심도(아웃포커싱), 액션의 단위(비트), 그리고 조명과 색상 팔레트를 명시해야 합니다. 피사체에 몇 가지 독특한 디테일을 부여하면 인식하기 쉬워지고, 하나의 그럴듯한 액션을 지정하면 따라가기 쉬운 영상이 만들어집니다.

시퀀스를 다뤄야 할 경우, 단일 프롬프트에 여러 샷을 설명하는 것도 유효합니다. 이 경우 각 샷 블록을 명확히 구분하세요. 한 번에 하나의 카메라 설정, 하나의 피사체 액션, 하나의 조명 레시피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프로젝트에 따라 짧은 독립 클립을 생성하거나 더 긴 연속적인 순간을 생성할 수 있는 유연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각 샷을 창의적인 단위로 취급하면, 편집에서 이어 붙이거나 하나의 시퀀스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 짧은 프롬프트는 모델에게 더 많은 창의적 자유를 줍니다. 놀라운 결과를 기대하세요.

  • 길고 상세한 프롬프트는 모델의 창의성을 제한합니다. 여러분의 지침을 따르려고 노력하겠지만, 항상 안정적으로 따르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짧은 프롬프트의 예시입니다:

In a 90s documentary-style interview, an old Swedish man sits in a study and says, "I still remember when I was young.

90년대 다큐멘터리 스타일의 인터뷰에서, 한 스웨덴 노인이 서재에 앉아 "내가 젊었을 때를 아직도 기억한다"고 말한다.

이 프롬프트는 잘 작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90년대 다큐멘터리: 영상의 스타일을 설정합니다. 모델은 이에 맞춰 렌즈, 조명, 색감을 결정합니다.

  • 한 스웨덴 노인이 서재에 앉아: 인물과 배경을 간단히 설명하여, 모델이 세부 사항을 창의적으로 채울 여지를 줍니다.

  • "...라고 말한다": 대화를 명시합니다. 모델은 이 대사를 정확히 따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프롬프트는 요구 사항에 맞는 영상을 안정적으로 생성하지만, 많은 세부 사항이 열려 있기 때문에 여러분의 비전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롬프트는 시간대, 날씨, 의상, 분위기, 캐릭터의 외모와 나이, 카메라 앵글, 컷, 세트 디자인 등 여러 요소를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세부 사항을 설명하지 않으면 모델이 스스로 만들어낼 것입니다.

극도로 상세하게 작성하기

복잡하고 영화적인 샷을 위해서는 표준 프롬프트 구조를 넘어, 전문적인 제작 용어로 외형, 카메라 설정, 색 보정, 사운드스케이프, 심지어 샷의 의도까지 명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감독이 촬영팀이나 VFX팀에 브리핑하는 방식과 유사합니다. 렌즈, 필터, 조명, 색 보정, 움직임에 대한 상세한 단서는 모델이 매우 특정한 미학을 포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가장 먼저 주목할 것, 카메라 플랫폼과 렌즈, 조명 방향, 색상 팔레트, 질감의 특성, 장면 내 사운드(diegetic sound), 샷 타이밍 등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 접근법은 실제 영화 촬영 스타일(예: IMAX 항공 촬영, 35mm 핸드헬드, 빈티지 16mm 다큐멘터리)을 모방하거나 여러 샷에 걸쳐 엄격한 연속성을 유지하고자 할 때 잘 작동합니다.

상세 프롬프트 분석: 새벽 기차역 장면

이 프롬프트는 하나의 완성된 cinematic 샷을 만들기 위한 매우 구체적인 지시사항들을 담고 있습니다. 각 파트는 영상 제작의 전문적인 단계에 맞춰 구성되어 있습니다.

1. 기본 촬영 설정 (Format & Look)

  • 영상 길이: 4초

  • 셔터 설정: 180°

  • 촬영 스타일: 65mm 필름의 사진화학적 대비를 모방한 디지털 촬영

  • 영상 질감: 미세한 그레인(Grain), 반사광에 미묘한 빛 번짐(Halation) 효과, 필름 흔들림(Gate Weave) 없음

2. 렌즈 및 필터 (Lenses & Filtration)

  • 사용 렌즈: 32mm / 50mm 구면 단렌즈

  • 사용 필터:

    • 블랙 프로-미스트 (Black Pro-Mist) 1/4

    • CPL 필터 (기차 창문 반사광 제어를 위해 약간 회전)

3. 색 보정 및 팔레트 (Grade / Palette)

  • 하이라이트 (밝은 부분): 호박색(Amber) 톤이 가미된 깨끗한 아침 햇살

  • 미드톤 (중간 부분): 그림자에 약간의 청록색(Teal)이 더해진 균형 잡힌 뉴트럴 톤

  • 블랙 (어두운 부분): 안개의 느낌을 유지하기 위해 약간 띄운 부드럽고 중립적인 블랙

4. 조명 및 분위기 (Lighting & Atmosphere)

  • 주 조명 (자연광): 카메라 왼쪽에서 낮은 각도로 들어오는 오전 7:30의 햇빛

  • 보조 조명:

    • 반사판: 선로 옆에서 4x4 울트라바운스 실버 사용

    • 네거티브 필 (빛 차단): 반대쪽 벽에서 빛을 차단하여 대비 생성

    • 현장 조명 (Practical Light): 희미하게 페이드되는 나트륨 플랫폼 조명

  • 대기 효과: 부드러운 안개, 빛줄기를 통과하는 기차의 배기 가스

5. 장소 및 구도 (Location & Framing)

  • 장소: 새벽의 도시 통근 플랫폼

  • 구도:

    • 전경: 노란색 안전선, 벤치 위의 커피 컵

    • 중경: 안갯속에 실루엣으로 보이는 대기 승객들

    • 배경: 정차하기 위해 제동하는 도착 기차

  • 주의사항: 특정 상표나 기업 로고 노출 피할 것

6. 의상, 소품, 엑스트라 (Wardrobe, Props, Extras)

  • 주 피사체: 30대 중반 여행객 (네이비 코트, 한쪽 어깨에 멘 배낭, 느슨하게 쥔 휴대폰)

  • 엑스트라: 차분한 톤의 의상을 입은 통근자들, 자전거를 끌고 가는 사람 1명

  • 소품: 종이 커피 컵, 여행 가방, 일반 목적지가 표시된 LED 출발 안내판

7. 사운드 디자인 (Sound)

  • 컨셉: 장면 내에서 발생하는 실제 소리(Diegetic Sound)만 사용

  • 사운드 요소: 희미한 레일 마찰음, 기차 브레이크 공기 빠지는 소리, 멀리서 작게 들리는 안내 방송(-20 LUFS), 낮은 주변 소음, 발소리, 종이 바스락거리는 소리

  • 제외 요소: 배경 음악(BGM)이나 추가적인 효과음 없음

촬영 계획 (Shot List & Notes)

최적화된 샷 목록 (총 4초, 2개 샷)

Shot 1: "도착 드리프트" (Arrival Drift)

  • 시간: 0.00 – 2.40초

  • 카메라: 32mm 렌즈, 숄더 마운트(어깨에 맨 카메라), 왼쪽으로 느리게 이동(돌리)

  • 내용: 카메라가 플랫폼 표지판을 스치듯 지나가며 프레임 중앙에 선로를 내려다보는 여행객을 비춘다. 얕은 초점(아웃포커싱)을 사용하며, 아침 빛이 렌즈에 퍼지고 기차 헤드라이트가 안개를 통해 부드럽게 빛난다.

  • 목적: 배경과 전체적인 분위기를 설정하고, 무언가를 기다리는 듯한 기대감을 암시한다.

Shot 2: "돌아서서 멈춤" (Turn and Pause)

  • 시간: 2.40 – 4.00초

  • 카메라: 50mm 렌즈, 안쪽으로 느리게 아크(Arc)를 그리며 이동

  • 내용: 기차가 멈추자 더 타이트한 오버숄더 샷으로 전환된다. 여행객이 카메라 쪽으로 살짝 돌아서면서 뺨과 휴대폰 화면에 햇빛 가장자리(림 라이트)가 비친다. 그의 시선은 프레임 밖의 무언가를 향해 위로 향한다.

  • 목적: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인물에게 시청자가 감정적으로 집중하는 순간을 만든다.

카메라 노트 (연출 의도)

  • 친밀감을 표현하기 위해 시선을 낮고 렌즈 축에 가깝게 유지한다.

  • 미학적 질감을 위해 기차 유리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렌즈 플레어를 의도적으로 허용한다.

  • 현실감을 더하기 위해 미묘한 핸드헬드(손으로 들고 찍는) 느낌의 흔들림을 보존한다.

  • 과다 노출로 인해 인물의 실루엣이 뭉개지지 않도록 피부 하이라이트의 경계를 선명하게 유지한다.

후반 작업 (Finishing)

  • 영상 질감: 현실감을 위해 미세 그레인 오버레이와 약한 색수차 노이즈를 추가한다.

  • 효과: 현장 조명에 절제된 할레이션(빛 번짐) 효과를 적용한다.

  • 색상: 아침의 분할된 톤(따뜻함/차가움)을 표현하기 위해 '웜-쿨 LUT'를 사용한다.

  • 사운드 믹스: 발소리보다 기차와 주변 환경음에 우선순위를 둔다.

  • 대표 이미지 (포스터 프레임): 여행객이 반쯤 돌아선 순간, 황금빛 림 라이트가 비치고 배경에는 안갯속에 부드럽게 초점이 나간 도착 기차가 보이는 장면으로 설정한다.

Subscribe to keep reading

This content is free, but you must be subscribed to 시바 AI 뉴스레터 to continue reading.

Already a subscriber?Sign in.Not now